전체 글12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취학전기 언어학적 능력 발달2) 2) 언어 표현력의 발달: 언어 표현력의 제1단계는 음성 발달기(0~10개월)로 말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리내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언어습득과 가장 관련이 깊은 초기 음성은 옹알이이다. 옹알이도 발달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띠지만 가장 초기의 형태는 모음과 비슷한 소리나 목 울림소리들이다. 이때, 아동은 혼자서도 소리를 내며 어른이 소리내기를 따라 하면 더 신이 나서 소리 유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초기옹알이는 6~8개월이 되면 차츰 음절에 가까운 소리로 변화하며 이때는 많은 양순음과 비음, 치조음 등이 모음과 섞여서 반복된 음절을 이루게 된다. 이 시기는 음절성 발음기라고 하는데 이때는 다양한 음절로 이루어진 소리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음성 발달기는 아동이 자신의 발성 및 조음기관을.. 2023. 1. 6.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취학 전, 언어학적 능력 발달) 언어습득에 있어서 언어학적 기초 능력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언어학적 기초 능력은 언어의 소리, 즉 음소의 습득과 이해할 수 있는 어휘 수의 확보일 것이다. 아동이 낱말을 습득하는 원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 Bloom은 ①상관성 원리, ②변별성 원리, ③확장성 원리를 이야기했고, 이 이론에 Mace와 Roberts는 ④반응의 효율성 원리를 더 추가하였다. 첫째, 상관성의 원리란 아동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낱말을 배우게 된다는 것으로 아동이 처음으로 학습한 낱말들은 아동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갖고 중요하게 생각하는지가 반영된다는 것이다. 즉 아동의 초기 학습 낱말은 아동이 생각하는 것과 상관이 있다. 둘째, 변별성 원리란 아동은 신기하게도 상대방이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를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이.. 2022. 12. 27.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언어 이전기 의사소통 능력 발달) 1) 초보적 의사소통 행동 단계 초보적 의사소통 행동 단계(1~3개월)에서는 울음, 미소, 눈맞춤 따위의 초보적인 의사소통 행동들을 보이는데 이러한 행동들은 아직 반사적이다. 신생아들의 의사소통 행동들은 주로 배가 고프다거나 기분이 좋을 때와 같은 생리적 상태의 표현이지만, 사실 이러한 행동들은 주변 성인들에게는 막강한 의사소통의 힘을 갖는다. 즉 신생아의 울음이나 웃음은 부모가 즉각적인 행동을 취하게 하므로 어떤 시기의 행동들보다도 강한 영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기간에 신생아는 자기 행동이 환경이나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미처 인식하지 못한다. 관심도 사물이나 사람 각각에게는 집중되더라도 사물과 사람을 함께 통합하여 연관 짓지는 못한다. 2) 목표지향적인 의사소통 행동 단계 .. 2022. 12. 19.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감각 운동기의 인지적 기초 능력 발달 및 초기 어휘 발달) 4) 도식 및 상징 놀이 개념 ‘도식’의 발달은 아동이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사물을 구별해 내는 데서 시작된다. 처음에 아동은 모든 사물에 대하여 똑같은 행동(예: 빨기)을 무분별하게 적용하다가, 차츰 흔들고 두드리고 움직여 보거나 치는 행동을 여러 대상에게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별된 행동은 아동이 사물의 기능과 관련된 행동을 사용하고 사물에 대한 시각적 탐색을 시작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 아동은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사물과 행동을 조합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인형을 껴안거나 머리를 만지거나 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상징 놀이를 보이기 위한 전 단계의 형태를 띠는 것이며 명명하기의 기초적인 능력이 된다. ‘상징 놀이’ 개념의 습득은 어떤 사물이나 행동을 다른 사물이나.. 2022. 12.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