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이야기 능력 발달(이야기 표현의 발달1) 1. 이야기 표현의 발달 우리가 이야기한다고 할 때는 옛날이야기처럼 꾸며 낸 이야기를 하는 것도 있지만, 자기가 직접 경험하거나 때로는 간접적으로 읽거나 보게 된 사건들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야기는 자기 스스로 시작하고, 조정하고, 탈문맥화시키는 담화의 일종이다. 이야기는 대화와는 다르게 문맥이 확장된 단위이며 문장 간에 시간적, 인과적 결합력이 있고 말하는 내내 사회적 독백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 2세의 어린 아동도 과거 사건에 관해 얘기하기 시작하고, 3~4세에는 하나 이상의 사건에 대해 말할 수 있으며, 이야기의 구조적인 요소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어디’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이야기에 포함시키게 된다. 5~7세가 되면 이야기에 ‘어디서’ ‘언제’ ‘누구’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 2023. 2. 3.
대화 능력 발달(참조적 의사소통의 발달) 2. 참조적 의사소통의 발달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는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여 표현하거나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참조적인 의사소통 기술이 요구된다. 참조적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 모두 정보와 그 정보가 언급하는 참조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학령기 동안 지속해서 발달한다. 참조적 의사소통에서 청자의 역할은 화자의 정보를 이해하고 화자 정보의 적절성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조적 의사소통은 대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여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자 능력에는 청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사물의 특징들을 변별하고 일관적인 메시지로 이러한 특징들을 제시하며.. 2023. 1. 27.
대화 능력 발달(대화 참여 기술의 발달) 1. 대화 참여 기술의 발달 대화 참여 기술이란 대화를 적절하게 시작하고, 상대방의 선행발화에 적절하게 반응하며 주제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차례를 지켜 말을 주고받고, 듣는 이의 피드백에 따라 반응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능력을 말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대화 참여 및 담화 조정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대화를 시작하고 반응하며 말 차례를 이어가는 능력, 대화의 주제를 유지하거나 이끌어가는 능력, 의사소통이 실패했을 때 상대방에게 말을 명료하게 해 달라고 요구하거나 자기 말을 수정하는 능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1) 말차례 주고받기 능력: 여러 연구에 따르면 말 차례 주고받기를 구성하는 말 차례는 상대방이 말을 시작하기 전까지 화자가 주제에 대해 말하는 발화로 정의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말 .. 2023. 1. 19.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발달(취학전기 언어학적 능력 발달3) 2) 언어 표현력의 발달: 언어 표현력의 제4단계는 문법으로의 전환기(약 24개월 이후)로 어휘 폭발기가 끝나는 약 24개월 정도가 되면 단단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초기 문장이 발달한다. 이 시기는 단단어 발화에서 2 낱말 발화로 가는 전환기로서 2 낱말의 사용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 어순이나 억양 패턴에 있어서 일관성이 없이 불규칙하므로 아직 문법 규칙이 습득되었다고 볼 수는 없는 시기이다. 초기에 나타나는 2 낱말 문장들은 마치 두 개의 단단어를 연결만 해 놓은 듯한 형태를 띠기 때문에 연결된 단단어 발화라고 부른다. 연결된 단단어의 운율적인 특징은 두 낱말의 강세가 같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듣는 이로 하여금 문장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게 한다. 이러한 연결된 단단어 발화의 형태들은 차츰 고.. 2023. 1. 9.